칼럼 [기고]보장성 강화를 위한 비급여의 급여전환은 대국민 립서비스일 뿐
<금청약품(주) 신동언 대표이사> 한국보건사화연구소는 건강보험코드번호가 없는 비급여는 1만9천여 개에 이르고, 이를 급여로 전환하여, 보장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발표에 따르면, 건강보험코드번호가 없는 비급여는 년 평균 10%씩 확산되어 국민이 부담한 비급여는 2018.년에 15.3조원에 이른다. 의료비 증가와는 별건으로 하더라도, 민간 보험회사들의 실손 보험의 적자요인이 되었고, 4,000만 명 실손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요인이 되고 있다. ‘건강보험코드번호가 없는 비급여’는 판매가격, 처방범위, 판매수량 등을 심평원에 보고할 의무가 없고 설령 보고를 하더라도 사용내역이 축적되지 않는다. 보건당국의 묵인은 권장이나 다름없다. 왜냐면, 제도권 밖의 치료재료(약제 및 치료재료)는 심평원에 사용량, 가격, 처방내역을 보고할 의무가 없다. 설령보고 한다고 하더라도 보험코드가 없음으로 사용내역이 축적되지 못한다. 수익을 창출해야하는 병원입장에서 가격 및 처방내역을 보고할 의무가 없는 해당약제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약제의 경우, 보건당국은 ‘요양급여가 아니면, 우리는 간여하지 않는다.’고 당당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에 약품회사는
- <금청약품(주) 신동언 대표이사>
- 2022-12-07 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