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내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한국어 교육'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지난 17일부터 8일간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 1천2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경기 다문화교육 추진에 대한 여론 조사' 결과 지역맞춤 다문화교육을 위한 지역 다문화교육센터 구축에 79.8%가 찬성, 응답자 10명 중 8명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공교육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문화가정 학생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사회적 편견(39.9%)'과 '의사소통의 어려움(32.3%)'을 꼽으며,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1순위는 '한국어 교육(55%)'이고, 우선 지원사항 1순위는 '학교 안 한국어 강사(31.1%)'라고 답했다.

지역 다문화교육센터에 개설할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어 교육(34.4%) ▲심리정서교육(30.5%) ▲문화예술교육(19.5%) 등이, 일반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울림 교육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37.7%) ▲심리정서 상담 지원(25.1%) ▲이중언어교육(17.8%) 등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나왔다.
이 가운데 이중언어교육에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강사 활용에 대해 71.2%가 공감, 그 이유로는 '양쪽 문화를 이해한다는 점'이 압도적이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달 안산에 경기 한국어공유학교가 문을 열었고 동두천과 남양주에도 11월 말 개교할 예정”이라면서 “센터 구축을 통해 지역맞춤 다문화교육 정책을 널리 알리고, 다문화가정 학생이 강점을 살리며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참여 도민의 54%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81%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