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인 1923년 건립된 부국원 건물은 종묘·농기구 회사였던 일본회사인 ㈜부국원의 본사로 해방 전까지 호황을 누렸다.
한국전쟁 이후 수원법원·검찰 임시청사(1952~1956년), 수원교육청(1950년대 말~1963년), 공화당 경기도당 당사(1970년대) 등으로 활용됐다.
1981년부터 ‘박내과 의원’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지만 개인소유였던 건물이 개발로 인해 지난 2015년 인해 철거 위기에 처했었다.
그러나 수원시가 발빠르게 대처해 이를 매입한이후 복원시켜 자칫 사라질뻔 했던 소중한 근대문화 유산이 살아나 시민 품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 것이다.
구 부국원 건물은 2015년 국민문화유산신탁의 시민이 뽑은 지켜야 할 문화유산 12선에 선정되고, 2017년 10월에는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698호로 지정되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수원시가 원형조사에 이어 복원공사까지 마친 ‘근대문화공간 수원 구 부국원’은 상설전시관과 교육공간·사무실 등 3층으로 구성돼 있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부국원은 수원의 근현대사를 함께하면서 세월의 흔적을 나이테처럼 간직한 공간”이라며 “구 부국원 건물은 수원 현대사를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자 근대 역사문화거리의 거점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근대문화공간 수원 구 부국원’에서 ‘전국 3대 우(牛)시장’으로 꼽혔던 ‘수원 우시장’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오는 12월 27일까지 작은 전시 ‘수원 우시장’을 개최한다.
수원 우시장의 역사는 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조대왕은 수원에 화성을 축성하고 신읍치를 건설한 후 수원을 성장시키기 위해 둔전(屯田)을 만들고, 농민들에게 소를 나눠줬다고 한다. 소가 점점 늘어나자 수원장에서 송아지가 거래되기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우시장이 형성됐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소를 팔려는 남부 지방 사람들은 서울과 가깝고 솟값이 좋은 수원 우시장으로 몰려들었다.
북수동 우시장(현재 매향여중 건너편)은 해방 이후 영화동 우시장으로 이전했다. 수원 우시장은 영화동 시기가 전성기였다.
수원 우시장은 서울로 반출되는 ‘고기소’가 모이는 ‘중개 시장’의 성격이 강했다. 수원 우시장은 우리나라 최대의 육류 소비시장인 서울과 인접해 크게 성장했다.
1970년대 후반 수원시 도심이 확장되면서 영화동 우시장은 곡반정동으로 밀려났고 곡반정동 수원 우시장은 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우시장으로 재탄생했지만 축산 유통 구조가 변화하면서 1980년대 이후 쇠퇴했다.
1996년 곡반정동 우시장이 폐쇄되며 수원 우시장은 끝낸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수원 우시장은 전국에서 ‘3대 우시장’이라 불릴 만큼 명성이 자자했다. 장날이면 수백 마리의 소와 사람이 모여들었다.
소의 거래는 ‘거간’이라고 불리는 중개인과 소 주인의 여러 차례 흥정을 거쳐 이뤄진다. 거래에는 거간, 소 장수와 소상인, ‘앞잡이’ 등 여러 명이 참여한다. 수원 우시장이 열리는 날에는 전국에서 모인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수원 우시장’ 전시는 ▲수원 우시장의 역사 ▲소를 사고파는 우시장 사람들 ▲수원 마방촌 등으로 구성된다. ‘전국한우챔피온대회’를 재현한 포토존에서 사진도 촬영할 수 있다.
수원문화원은 수원 우시장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정리해 「수원 우시장」을 발간했는데, 이번 전시회에서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수원시는 도시개발로 사라진 지역의 향토 역사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며 “많은 시민이 ‘수원 우시장’과 전시를 관람하며 옛 수원의 모습을 추억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화~일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입장 마감 오후 5시 30분). 매주 월요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하는데 무료 관람이다.